알리셰르 나보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리셰르 나보이는 15세기 티무르 제국 시대의 시인, 사상가, 정치가로, 현재의 아프가니스탄 헤라트에서 태어났다. 그는 후세인 바이카라의 측근으로 활동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지만, 관직에서 물러난 후에도 정계에 영향을 미쳤다. 나보이는 차가타이어 문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으며, 우즈베크 문화에서 국민 시인으로 존경받고 있다. 그의 작품은 중앙아시아는 물론 오스만 제국 등 다양한 지역에 영향을 미쳤으며, 오늘날까지도 그의 이름은 여러 도시와 기관에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즈베키스탄의 시인 - 압둘라 오리포프
우즈베키스탄의 시인이자 정치인인 압둘라 오리포프는 1965년 등단 후 다수의 시집을 발표하며 우즈베키스탄을 대표하는 시인이 되었고, 작가 연맹 수장과 상원 의원을 역임하며 문화 발전에 기여했으며, 《신곡》 번역가로도 활동하며 여러 상을 수상했다. - 우즈베키스탄의 과학자 - 루슬란 메지토프
루슬란 메지토프는 면역학 분야에서 선구적인 연구를 수행한 과학자로, 톨 유사 수용체(TLR4) 발견 및 면역 반응 활성화 증명에 기여했으며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 래스커-데베이키 임상 의학 연구상, 울프 의학상 등을 수상하고 현재 예일 대학교 의과대학 스털링 교수직을 유지하고 있다. - 우즈베키스탄의 과학자 - 코디르 조키로프
코디르 조키로프는 1906년 페르가나 분지에서 태어나 1992년에 사망한 우즈베키스탄의 식물학자이며, 타슈켄트 교육대학교 학과장, 식물학 연구소 소장을 역임하고 소련 최고 소비에트 의원으로 활동했다.
알리셰르 나보이 - [인물]에 관한 문서 |
---|
2. 생애
알리셰르 나보이는 1441년 호라산(현재의 아프가니스탄) 헤라트에서 티무르 제국 관리 가문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후세인 바이카라와 함께 자라며 학문을 익혔고, 훗날 바이카라의 측근으로 활동했다. 마슈하드, 사마르칸트 등지에서 학업을 이어갔다. 나보이는 금욕적인 삶을 살았으며, 결혼하거나 자녀를 두지 않았다.[39]
2. 1. 유년 시절과 교육
알리셰르 나보이는 1441년 호라산 지방 헤라트에서 티무르 제국의 관리였던 기야스 앗딘 키치크네의 아들로 태어났다.[40] 4, 5세 때 나보이는 헤라트의 메크테브(사숙)에서 아랍어와 페르시아어를 배우고, 사아디의 시를 암송했다. 나보이는 훗날 호라산의 술탄이 되는 후세인 바이카라와 함께 메크테브에서 공부했으며, 어른이 되어 성공한 사람이 다른 한 사람을 돕기로 서약했다.[37]1447년 티무르 제국의 왕 샤 루크가 죽은 후, 나보이의 가족은 혼란을 피해 헤라트에서 피신했다.[38]
2. 2. 정치 활동
1469년 후세인 바이카라가 헤라트에서 권력을 장악한 후, 나워이는 헤라트 궁정에 출사했다.[40] 헤라트 궁정에서 나워이는 인장관을 역임했고, 1472년 아미르(에미르)의 지위를 받았다.[37] 나워이는 많은 재산을 소유하고 있었지만 가족이 없었고, 후세인과 다른 고관들에게 금품을 선물했으며, 사비를 들여 복지 시설을 건설했다.[37] 또한 많은 모스크(사원)와 마드라사(신학교)를 건립 및 수리했다.나워이는 다른 정치인들의 폭정과 부패를 엄하게 비판했기 때문에, 후세인의 측근들과 대립했다.[42] 한때 나워이가 보호해주던 정치가 마즈드 앗딘 무함마드는 나워이의 의견을 받아들이지 않았고, 종종 후세인 앞에서 나워이를 중상했다.[39] 특히, 마즈드 앗딘 무함마드 크바피의 중앙 집권화 개혁이 나워이와 같은 투르크계 군사 엘리트가 누리던 전통적인 특권에 위협이 되었기 때문에 갈등을 빚었다.
1487년 나워이는 고르간(아스타라바드)의 장관으로 현지에 부임했지만, 후세인은 마주드에게 재정을 위임하려는 의도가 있었다.[39] 1488년 나워이는 허락 없이 헤라트로 돌아와 사직하고 헤라트에 거주하는 것을 후세인에게 간청했지만 허락되지 않았고, 아스타라바드로 돌아갔다. 1489년 이후 나워이는 관직을 유지하지 않았지만, 정계에서 여전히 영향력을 유지했다.[40]
1498년경 나워이는 메카 순례(Hajj)를 청했지만, 후세인은 치안 악화를 이유로 연기를 권했다.
2. 3. 사망
1500년 12월 말, 나보이는 반란을 진압하고 돌아온 후세인을 헤라트 교외에서 맞이하던 중 쓰러졌다.[40] 이때 나보이는 혼자 걸을 수 없어 두 명의 신하에게 부축받아야 했다. 후세인의 손에 입을 맞춘 후 쓰러진 나보이는 헤라트로 옮겨져 사혈 치료를 받았으나 효과가 없었다. 결국 1501년 1월 3일 헤라트에서 사망했다.[40]나보이의 장례식은 성대하게 거행되었으며, 후세인은 3일 동안 상복을 입고 나보이의 죽음을 애도했다.
3. 문화 사업
알리셰르 나보이는 학자, 문인, 예술가들을 후원하여 티무르 제국 시대 헤라트의 문화 번영에 크게 기여했다.[35][42] 헤라트 궁정과 정원에서는 나보이가 주최하는 학자, 문인, 예술가들의 모임이 열렸고, 모인 사람들은 서로 재능을 뽐냈다.[41] 비흐자드, 샤 무자파르 등 화가들을 지원했으며, 자미와 같은 나크시반디야 수피 성자와도 교류했다.[40] 1491년/92년에 쓴 『아름다운 것들의 모임』에는 당시 문인들에 대한 평가가 기록되어 있다.[42] 자미에게 자신의 철학, 정치, 사회적 사상을 서술한 『경건한 신자의 혼란』을 헌정했으며, 1496년 자미가 저술한 『수피 성자 전기』를 차가타이어로 번역했다.
나보이는 시, 작곡, 그림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 재능을 보였다.[35][41] 호라산 지역에 모스크, 마드라사, 도서관, 병원, 카라반사라이 등 370여 개의 시설을 건립, 복원, 기증했다.[7]
3. 1. 차가타이 문학에 대한 기여
나와이(Nava'i)라는 필명으로 알려진 알리셰르는 투르크어의 문학적 사용에 혁명을 일으킨 주요 작가였다. 그는 주로 차가타이어로 작품 활동을 하였으며, 30년 동안 30편의 작품을 발표하여 차가타이어를 권위 있고 존경받는 문학 언어로 자리매김하게 하였다.[3] 또한 '파니'(Fāni)라는 필명으로 페르시아어로, 그리고 훨씬 적은 양이지만 아랍어로도 글을 썼다.나와이의 가장 잘 알려진 시들은 약 5만 구절에 달하는 네 권의 디완에 담겨 있다.[3]
제목 | 의미 | 내용 |
---|---|---|
가라입 알 시가르 (''Gharaib al-Sighar''') | 어린 시절의 경이 | 어린 시절에 대한 시 |
나와디르 알 샤밥 (Navadir al-Shabab) | 청년 시절의 진귀함 | 청년 시절에 대한 시 |
바다이 알 와삿 (''Badail-Wasat) | 중년의 경이 | 중년 시절에 대한 시 |
파와이드 알 키바르 (''Fawaid al-Kibar''') | 노년의 이점 | 노년 시절에 대한 시 |
다른 투르크 시인들을 돕기 위해 알리셰르는 '''미잔 알 아우잔'''('''Mizan al-Awzan'''): "운율의 척도"와 같은 기술적인 작품과 시적 운율에 대한 자세한 논문을 저술하였다. 또한 대부분 동시대 시인들에 대한 450편 이상의 전기적 스케치 모음집인 '''마잘리스 알 나파이스'''('''Majalis al-Nafais'''): "저명한 사람들의 모임"을 만들었다. 이 모음집은 현대 역사가들에게 티무르 제국 문화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제공한다.
알리셰르의 다른 중요한 작품으로는 니자미 간자비의 함사에 대한 답변으로 5편의 서사시로 구성된 함사가 있다.
제목 | 의미 | 내용 |
---|---|---|
하이라트 알 아브라르 (Hayrat al-abrar) | 착한 사람들의 경이 | |
파르하드 바 시린 (Farhad va Shirin) | 파르하드와 시린 | |
라이리 바 마주눈 (Layli va Majnun) | 라이라와 마주눈 | |
사바이 사이야르 (''Sabai Sayyar''') | 일곱 명의 여행자 | 일곱 행성에 관한 이야기 |
사드 이스칸다리 (Sadd-i Iskandari) | 알렉산더의 벽 | 알렉산드로스 대왕에 관한 이야기 |
알리셰르는 또한 아타르 니샤푸리의 '''만틱 알 타이르'''('''Mantiq al-Tayr'') 즉, "새들의 회의"에 이어 '''리산 알 타이르'''('''Lisan al-Tayr''')를 저술하여 수피즘에 대한 그의 철학적 견해와 사상을 표현했다. 그는 자미의 '''나파하트 알 운스'''를 차가타이어로 번역하여 '''나사임 알 무하밧'''이라고 명명했다. 그의 '''베쉬 하이라트'''(''다섯 가지 경이'')는 종교와 수피즘에 대한 그의 견해를 심도 있게 보여준다. 그의 페르시아어 시집에는 6,000행이 들어 있다.
나와이의 마지막 작품인 '''무하카마트 알 루가타인'''('''Muhakamat al-Lughatayn'''): "두 언어의 재판"은 투르크어와 페르시아어를 비교한 것으로 1499년 12월에 완성되었다. 그는 투르크어가 문학적 목적으로 페르시아어보다 우수하다고 믿었고, 그의 작품에서 이러한 믿음을 옹호했다. 나와이는 페르시아어와 달리 투르크어 어휘의 풍부함, 정확성, 유연성에 대한 믿음을 여러 번 강조했다.[10]
나보이는 차가타이어로 시를 지을 때는 "나보이"(Navoi, "아름다운 선율"이라는 뜻)"라는 필명을, 페르시아어로 시를 지을 때는 "파니"(Fani)"라는 필명을 사용하여 구분했다.[40] 나보이는 차가타이어를 페르시아어와 비교하여 차가타이어는 간결하고 창의력이 풍부하며, 페르시아어는 세련된 사색에 적합한 언어라고 각각의 장점을 설명하고,[41] 문어로서의 차가타이어의 우위성을 주장했다.[36]
티무르 제국이나 자신의 출신과 관련된 투르크, 몽골의 역사와 전승은 나보이의 차가타이 문학 작품의 소재가 되지 않았고, 스스로 보고 들은 사건이나 전통적인 페르시아-이슬람 문학을 소재로 했다. 인생의 네 시기에 따라 편집한 시집 『의미의 보물창고』는 인도의 페르시아 시인 아미르 호스로의 발상을 본떠 5부로 구성되며, 장편 서사시 『5부작』의 형식은 아미르 호스로와 니자미가 취했던 전통을 따른 것이다. 『새의 말』은 12세기 말에서 13세기 초 페르시아 시인 파리두딘 아타르의 『새의 말』과 같은 주제와 운율을 사용한 차가타이어 시이지만, 나보이의 『5부작』과 『새의 말』은 원이 된 페르시아어 시의 단순한 번역이나 각색을 넘어선 독자적인 세계를 만들어냈다.
나보이는 학자와 문인의 후원자이기도 했으며, 티무르 제국 통치하의 헤라트 문화의 번영에 큰 역할을 했다.[35][42]
3. 2. 페르시아 문학 및 기타 언어 작품
나보이는 "파니(Fāni)"라는 필명으로 페르시아어로도 작품 활동을 했다.[40] 페르시아어 시집에는 6,000행(Bayt)이 들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나보이의 페르시아어 작품 중 하나인 『베쉬 하이라트』(다섯 가지 경이)는 종교와 수피즘에 대한 그의 견해를 심도 있게 보여준다. 나보이는 아랍어로도 적은 양의 작품을 남겼다.4. 작품 목록
알리셰르 나보이는 시, 서사시, 학술 저작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방대한 작품을 남겼다. 그의 작품은 크게 투르크어(차가타이어) 작품과 페르시아어 작품으로 나눌 수 있으며, 투르크어 작품이 문학적으로 더 높은 평가를 받는다. 나보이의 작품 세계는 방대하고, 문학적 깊이가 깊어 많은 이들에게 영감을 주었으며, 그의 작품은 오늘날까지 연구되고 있다.
종류 | 제목 | 원제 | 비고 |
---|---|---|---|
디완 | 가라입 알 시가르 | Garoyib us-sigarcrh | 어린 시절의 경이 |
디완 | 나와디르 알 샤밥 | Navodir ush-shabobcrh | 젊음의 진귀함 |
디완 | 바다이 알 와삿 | Badoyi' ul-Vasatcrh | 중년의 경이 |
디완 | 파와이드 알 키바르 | Favoyid ul-Kibarcrh | 노년의 이점 |
디완 | 바도에 울-바사트 | Badoe' ul-Vasatcrh | |
디완 | 나와디르 알-니하야 | Navodir un-Nihoyacrh | |
카시다 | 푸술리 아르바아 | Fusuli arbaafa | 네 계절 |
카시다 | 투흐파트 울-아프코르 | Tuhfat ul-Afkorfa | 사상의 선물 |
카시다 | 룩 울-쿠드스 | Ruh ul-Qudsfa | 성령 |
카시다 | 나심 울-훌드 | Nasim ul-Xuldfa | 영원의 미풍 |
학술 | 운율의 척도 | Mizon ul-Avzoncrh | |
학술 | 저명한 사람들의 모임 | Majolis un-Nafoiscrh | |
학술 | 두 언어의 재판 | Muhokamat ul-Lুগাতaynecrh | |
기타 | 와키피야 | Vaqfiyacrh | |
기타 | 마음에 사랑받는 것 | Mahbub ul-Qulubcrh | |
기타 | 메존 울-아브존 | Mezon ul-abzoncrh | |
기타 | 민호지 운-나조트 | Minhoji un-najotcrh | 구원의 길 |
기타 | 기도 | Munojotcrh | |
기타 | 서한집 | Munshaotcrh | |
기타 | 문제 해결에 관한 작품 | Mufradotcrh | |
기타 | 나즘 울-자와히르 | Nazm ul-Javohircrh | |
기타 | 리솔라이 티르 안도탄 | Risolai tir andohtancrh | |
기타 | 무슬림의 등불 | Siroj ul-Muslimincrh | |
기타 | 이란 왕들의 역사 | Tarixi muluki Ajamcrh | |
기타 | 함사트 울-무타하이리린 | Xamsat ul-Mutahayyirincrh |
- '''하조인 울-마오니'''[13]: 나보이의 완성된 서정시를 포함한 네 권의 디완을 통칭하는 제목이다. 1498년에 완성되었으며, 총 3,132편의 시, 22,450.5행(44,901줄)으로 이루어져 있다. 16가지의 서로 다른 서정적 장르가 사용되었다.
- '''카사'''[13]: 1483~85년에 쓰여진 나보이의 다섯 편의 다스탄을 통칭하는 제목이다.
4. 1. 서사시
알리셰르 나보이는 니자미 간자비의 함사(Khamsa)에 대한 답변으로 5편의 서사시로 구성된 함사(Khamsa)를 썼다.- '''하이라트 알 아브라르''('''Hayrat al-abrar''): "착한 사람들의 경이"(حیرت الابرار)
- '''파르하드 바 시린''('''Farhad va Shirin''): "파르하드와 시린"(فرهاد و شیرین)
- '''라이리 바 마주눈''('''Layli va Majnun''): "라이라와 마주눈"(لیلی و مجنون)
- '''사바이 사이야르''('''Sab'ai Sayyar''): "일곱 명의 여행자"(سبعه سیار) (일곱 행성에 관한 이야기)
- '''사드 이스칸다리''('''Sadd-i Iskandari''): "알렉산더의 벽"(سد سکندری) (알렉산더 대왕에 관한 이야기)
또한 아타르 니샤푸리의 '''만틱 알 타이르''('''Mantiq al-Tayr'') 즉, "새들의 회의(The Conference of the Birds)"를 따라 '''리산 알 타이르''('''Lisan al-Tayr'')를 저술하여 수피즘에 대한 자신의 철학적 견해와 사상을 표현하였다.[10]
나보이의 "21개 가젤(Twenty-One Ghazals)"의 일부를 영어로 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 『5부작』
- * 「독실한 자의 경탄」
- * 「파르하드와 시린」
- * 「라이라와 마주눈」
- * 「일곱 개의 행성」
- * 「알렉산더의 성벽」
- 『새의 언어』
4. 2. 시집
알리셰르 나보이는 '나와이'라는 필명으로 주로 차가타이어로 작품 활동을 했으며, 30년 동안 30편의 작품을 발표하여 차가타이어를 문학 언어로 자리매김하는데 큰 영향을 주었다. 또한 '파니'라는 필명으로 페르시아어로도 작품을 남겼다.[3]나와이의 대표적인 시집은 약 5만 구절에 달하는 네 권의 디완(시집)으로, 각 시집은 인생의 다른 시기를 반영한다.
제목 | 의미 | 내용 |
---|---|---|
가라입 알 시가르 (Ghara'ib al-Sighar) | 어린 시절의 경이 | 어린 시절을 주제로 한 시 |
나와디르 알 샤밥 (Navadir al-Shabab) | 청년 시절의 진귀함 | 청년 시절을 주제로 한 시 |
바다이 알 와삿 (Badai al-Wasat) | 중년의 경이 | 중년 시절을 주제로 한 시 |
파와이드 알 키바르 (Fawa'id al-Kibar) | 노년의 이점 | 노년 시절을 주제로 한 시 |
나와이는 페르시아어로 된 시집도 남겼으며, 여기에는 6,000행()이 들어있다. 대표적인 페르시아어 시집으로는 『하조인 울-마오니』(의미의 보고)가 있으며, 4개의 디완으로 구성되어 있다.
4. 3. 기타 작품
알리셰르 나보이의 기타 작품은 다음과 같다.- Мухакамат ал-Лугатайн|Muhakamat al-Lughatayn|두 언어의 재판ru
- Маджалис ан-Нафаис|Majalis al-Nafais|저명한 사람들의 모임ru
- Мизан ал-Авзан|Mizan al-Awzan|운율의 척도ru
- Махбуб ул-Кулуб|Mahbub ul-Qulub|마음에 사랑받는 것ru
- Муноджот|Munojot|기도ru
- Муншаот|Munshaot|서간집ru
- Вакифия|Vaqfiya|기록 작품ru
- Хамсат ул-Мутахаййирин|Khamsat ul-Mutahayyirin|놀라운 오부ru
- Сиродж ул-Муслимин|Siroj ul-Muslimin|무슬림의 등불ru
- Тарихи Мулуки Аджам|Tarikh-i Muluki Ajam|이란 왕들의 역사ru
- Насим ул-Хулд|Nasim ul-Xuld|영원의 미풍ru (페르시아어 카시다)
- Рисолаи тир андохтан|Risolai tir andohtan|ru
- Рух ул-Кудс|Ruh ul-Quds|성령ru (페르시아어 카시다)
- Тухфат ул-Афкор|Tuhfat ul-Afkor|사상의 선물ru (페르시아어 카시다)
- Муфрадот|Mufradot|문제 해결에 관한 작품ru
각 작품에 대한 간략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 '''두 언어의 재판''': 1499년 12월에 완성된 작품으로, 투르크어와 페르시아어를 비교하고 투르크어가 문학적 목적으로 더 우수하다는 믿음을 옹호했다.[10]
- '''저명한 사람들의 모임''': 동시대 시인들에 대한 450편 이상의 전기적 스케치 모음집으로, 티무르 제국 문화에 대한 귀중한 정보를 제공한다.[3]
- '''운율의 척도''': 시적 운율에 대한 자세한 논문을 저술한 작품이다.
- '''기록 작품''': 시인의 삶, 정신 세계, 꿈, 그리고 이루지 못한 욕망을 묘사하고 있으며, 15세기 사회 및 문화 생활에 대한 중요한 정보의 원천이다.
- '''마음에 사랑받는 것''': 1500년에 쓴 작품으로, 서문과 세 개의 주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부분은 다양한 사회 계층의 지위와 의무, 두 번째 부분은 도덕적 문제, 세 번째 부분에는 조언과 현명한 말이 담겨 있다.
- '''페르시아어와 튀르크어 아루즈에 관한 작품''': 1490년에 쓰여졌다.
- '''기도''': 알라 앞에서 간청하고 회개하는 내용의 작은 작품으로, 이루지 못한 꿈과 후회에 대해 썼다.
- '''서간집''':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에게 다양한 문제에 대해 쓴 편지 모음집이다.
- '''문제 해결에 관한 작품''': 1485년에 쓰여졌다.
- '''영원의 미풍''': 페르시아어로 쓰인 카시다이다.
- '''리솔라이 티르 안도탄''': 단 3페이지밖에 없는 짧은 리살라이다.
- '''성령''': 신성한 사랑에 관한 페르시아어 카시다이다.
- '''무슬림의 등불''': 이슬람 법에 관한 작품으로 1499년에 쓰여졌다.
- '''이란 왕들의 역사''': 1488년에 쓰여졌다.
- '''사상의 선물''': 페르시아어로 쓰인 카시다이다.
- '''놀라운 오부''': 1494년에 자미에 대해 쓴 작품이다.
5. 나보이의 영향
나보이는 동쪽의 인도에서 서쪽의 오스만 제국에 이르기까지 넓은 지역에 영향을 미쳤다. 그의 영향은 중앙아시아, 오늘날의 튀르키예, 러시아의 카잔 등 튀르크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사는 모든 지역에서 찾아볼 수 있다.[40]
- 인도 무굴 제국의 창시자이자 ''바부르나마''의 저자인 바부르는 나보이에게서 큰 영향을 받았으며, 회고록에서 그에 대한 존경심을 표현했다.
- 오스만 제국의 쉴레이만 1세는 나보이에게 감명을 받아 그의 개인 서재에 ''디반-이 네바이'', ''캄사'', ''무하카마트''를 추가했다.[16]
- 사파비 왕조와 오스만 제국 모두의 후원 아래 글을 썼던 저명한 아제르바이잔 시인 후주리는 나보이의 문체에 큰 영향을 받았다.
- 투르크멘 문학에서 나보이의 역할은 중요하게 여겨져 왔으며, 마크팀굴리와 같은 시인들은 그를 스승으로 칭송했다.[17]
- 부하라의 에미르 무자파르 빈 나스룰라는 1872년 영국 빅토리아 여왕에게 나보이의 디반 사본을 증정했다.[18]
- 나보이는 우즈베키스탄의 국민 시인으로 여겨진다. 나보이 주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거리와 대로 등 많은 다른 랜드마크들도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우즈베키스탄 작가와 시인들이 그의 작품에서 영감을 얻는 것은 지속적인 추세이다.[19]
나보이의 작품은 오스만 제국 궁정에서도 애독되었으며, 후세 중앙아시아의 튀르크계 여러 민족들에게서도 인기를 얻고 있다.[40] 1945년 우즈베키스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작가 무사 아예베크는 나보이의 생애를 소재로 한 소설 『나보이』를 발표했고, 많은 유럽 국가에서 번역되어 출판되었다.[42] 그 외에도 나보이를 주제로 한 희곡과 영화가 많이 제작되었다.[36] 타슈켄트의 큰 길에는 나보이의 이름이 붙여졌고, 오페라 극장은 나보이 극장으로 불린다.[42] 1941년 탄생 500주년, 1966~1968년 탄생 525주년, 우즈베키스탄이 독립한 1991년 탄생 550주년이 기념되었다. 이란 영토인 헤라트를 중심으로 활동한 생애에도 불구하고, 우즈베키스탄에서는 국가와 우즈베크 민족을 대표하는 역사적 영웅으로 강조되고 있다.[36]
6. 유산
나보이는 중앙아시아 투르크계 민족들에게 가장 사랑받는 시인 중 한 명이며, 차가타이어 문학의 최고 대표자로 여겨진다.[3] 그의 차가타이어 구사 능력은 뛰어나 "나보이의 언어"라고 불릴 정도였다.[3]
나보이 시대 사람들에게 현대 중앙아시아 민족명을 적용하는 것은 시대착오적이지만, 소비에트와 우즈베키스탄 자료들은 나보이를 우즈베크족으로 간주한다.[20][21] 『타리흐-이-라시디』를 저술한 미르자 무함마드 하이달르 두글라트에 따르면, 알리셰르 나보이는 위구르 바흐시 서기관의 후손이었다.[22] 이 때문에 일부 자료에서는 나보이를 위구르족 후손이라고 부르기도 한다.[23][24] 그러나 쿠보 가즈유키와 같은 다른 학자들은 이러한 견해에 동의하지 않는다.[25][26]
소비에트와 우즈베키스탄 자료들은 나보이가 우즈베크어 발전에 크게 기여했으며 우즈베크 문학의 창시자로 여긴다.[20][27][28] 20세기 초 소비에트 언어 정책은 차가타이어를 "옛 우즈베크어"로 개명했는데, 에드워드 A. 올워스에 따르면 이는 "이 지역의 문학사를 심각하게 왜곡"했고 알리셰르 나보이와 같은 작가들에게 우즈베크 정체성을 부여하는 데 사용되었다.[19] 찰스 커즈먼에 따르면, "아이러니하게도 나보이의 당시 우즈베크인들에 대한 혐오감을 고려할 때, 그의 유산은 민족주의 건설이라는 측면에서 이용되고 있다: 우즈베크어의 재평가"[29]
1941년 12월, 소련 전체가 나보이의 500주년을 기념했다.[30] 나치의 봉쇄 속 레닌그라드에서는 아르메니아 동양학자 요셉 오르벨리가 나보이를 기리는 축제를 주관했다. 급성 영양실조로 고통받아 더 이상 걸을 수 없었던 젊은 동양 문학 전문가 니콜라이 레베데프는 나보이의 시 '일곱 여행자'를 낭독하며 생의 마지막 순간을 보냈다.[31]
우즈베키스탄과 다른 중앙아시아 국가의 많은 장소와 기관이 알리셰르 나보이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나보이주, 나보이 시, 알리셰르 나보이 국립도서관,[32] 알리셰르 나보이 오페라 극장, 타슈켄트 지하철 알리셰르 나보이 역, 나보이 국제공항 등이 모두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나보이의 가젤들은 12 무캄, 특히 무카디마로 알려진 서론에서 많이 연주된다.[33] 또한 우즈베키스탄 민요와 셰랄리 주라예프와 같은 많은 우즈베키스탄 가수들의 작품에도 등장한다. 알리셰르 나보이의 작품들은 우즈베키스탄 극작가들에 의해 연극으로도 상연되었다.
2021년 카자흐스탄 누르술탄의 우정의 집에서 알리셰르 나보이 탄생 580주년을 기념하는 국제적인 영적 행사가 열렸다.[34]
나보이의 작품은 오스만 제국 궁정에서도 애독되었으며, 후세 중앙아시아의 튀르크계 여러 민족들에게서도 인기를 얻고 있다.[40] 1945년 우즈베키스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작가 무사 아예베크는 나보이의 생애를 소재로 한 소설 『나보이』를 발표했고, 많은 유럽 국가에서 『나보이』가 번역되어 출판되었다.[42] 그 외에도 나보이를 주제로 한 희곡과 영화가 많이 제작되었다.[36] 타슈켄트의 큰 길에는 나보이(나바르이)의 이름이 붙여졌고, 오페라 극장은 나바르이 극장으로 불린다.[42] 1941년 탄생 500주년, 1966~1968년 탄생 525주년, 우즈베키스탄이 독립한 1991년 탄생 550주년이 기념되었다. 이란 영토인 헤라트를 중심으로 활동한 생애에도 불구하고, 우즈베키스탄에서는 국가와 우즈베크 민족을 대표하는 역사적 영웅으로 강조되고 있다.[36]
참조
[1]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Historical Writing Volume 2: 400-1400
Oxford University Press
2012
[2]
서적
Nasa'em al-mahabba men shama'em al-fotowwa
Turkish Language Association
1996
[3]
백과사전
Navā'ī, (Mir) 'Alī Shīr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4]
서적
The World of Persian Literary Humanism
Harvard University Press
2012
[5]
웹사이트
Literary voyage through the Magtymguly Fragi cultural and park complex
https://turkmenistan[...]
2024-05-29
[6]
뉴스
A bust of Alisher Navoi was installed in Lakitelek, Hungary
https://www.gazeta.u[...]
2024-10-15
[7]
백과사전
Alisher Navoi
[8]
학술지
Socioeconomic Bases of Cultural Patronage under the Later Timurids
1988-11
[9]
학술지
Chaucer of the Turks
1985-01-02
[10]
서적
Muhakamat al-lughatain
Brill
1966
[11]
서적
Twenty-One Ghazals [of] Alisher Navoiy
Cervena Barva Press
2016
[12]
웹사이트
Suyima Gʻaniyeva
http://ziyonet.uz/uz[...]
2014-01-14
[13]
웹사이트
The Alisher Navoi Reference Bibliography
http://www.navoigard[...]
2012-01-28
[14]
서적
The Ocean of Story, volume 1
https://www.wisdomli[...]
[15]
학술지
From Herat to Shiraz: the Unique Manuscript (876/1471) of 'Alī Shīr Nawā'ī's Poetry from Aq Qoyunlu Circle
[16]
서적
Suleyman the Magnificent
British Museum Publications
[17]
서적
Explanatory Dictionary of Magtymguly
Gonbad-e Qabous
1997
[18]
학술지
A MUGHAL MANUSCRIPT OF THE «DIWAN» OF NAWA’I
2011
[19]
서적
The Modern Uzbeks: From the Fourteenth Century to the Present: A Cultural History
https://archive.org/[...]
Hoover Institution Press
[20]
백과사전
Navoi, Nizamiddin Mir Alisher
Great Russian Encyclopedia
[21]
뉴스
Alisher Nava'i Remembered in Moscow
http://www.ozodlik.o[...]
2011-02-09
[22]
서적
'Alī Shīr Navā'ī: Bakhshī and Beg. Eucharisterion: Essays presented to Omeljan Pritsak on his Sixtieth Birthday by his Colleagues and Students
Harvard Ukrainian Studies
[23]
서적
Central Asia Reader: The Rediscovery of History
M.E. Sharpe
[24]
서적
Türk Dili ve Edebiyatı Ansiklopedisi: Devirler, İsimler, Eserler, Terimler
Dergâh Yayınları
[25]
서적
Timurid Art and Culture: Iran and Central Asia in the Fifteenth Century
Brill
[26]
학술지
ミール・アリー・シールの学芸保護について
[27]
웹사이트
Alisher Navoi
http://writershistor[...]
2012-01-26
[28]
웹사이트
Uzbekistan – The monuments of classical writers of oriental literature are removed in Samarqand
http://enews.fergana[...]
2009-07-07
[29]
서적
Uzbekistan: The invention of nationalism in an invented nation
1999
[30]
서적
Soviet Nation-Building in Central Asia: The Making of the Kazakh and Uzbek Nations
https://books.google[...]
Routledge
[31]
서적
The 900 Days: The Siege Of Leningrad
https://books.google[...]
Da Capo Press
[32]
웹사이트
About the National Library of Uzbekistan named after Alisher Navoiy
http://www.natlib.uz[...]
[33]
서적
Intimate Heritage: Creating Uyghur Muqam Song in Xinjiang
Lit Verlag
2008
[34]
웹사이트
Kazakh Capital Hosts a Poetry Event to Commemorate 580th Anniversary of Poet Alisher Navoi
https://astanatimes.[...]
2021-02-23
[35]
서적
ミール・アリー・シール
[36]
서적
ナヴァーイー
堀川、帯谷
[37]
서적
ムガル皇帝歴代誌
ロビンソン
[38]
서적
中央アジア歴史群像
加藤
[39]
간행물
ティムール朝のその後
久保一之
[40]
서적
ナヴァーイー
久保
[41]
서적
ムガル皇帝歴代誌
ロビンソン
[42]
서적
アリー・シール・ナワーイー
護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